안녕하세요.
오늘은 1탄에 이어 [2탄 정부와 경제정책, 노동시장과 고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 경제 용어들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경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하나씩 자세히 살펴볼까요?
[ 정부와 경제정책 ]
26. 조세(Taxation)
조세란 국가가 공공서비스 운영을 위해 국민과 기업으로부터 강제로 걷는 돈을 의미합니다. 조세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재산세 등 여러 종류로 나뉘며, 정부의 재정을 형성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27. 소득세(Income Tax)
소득세란 개인이나 법인이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누진세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28. 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VAT)
부가가치세란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유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일반 소비자가 물건을 구매할 때 가격에 포함되어 지불됩니다.
29. 법인세(Corporate Tax)
법인세란 기업이 얻은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기업의 경영 성과에 따라 세금 부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0.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
경상수지는 한 나라가 외국과의 상품 및 서비스 거래에서 벌어들인 돈과 지출한 돈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무역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등이 포함됩니다.
31. 무역수지(Trade Balance)
무역수지는 한 나라가 수출한 상품의 총액에서 수입한 상품의 총액을 뺀 값을 의미합니다. 무역수지가 흑자이면 수출이 많고, 적자이면 수입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32. 보호무역(Protectionism)
보호무역이란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 제한을 통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33. 자유무역(Free Trade)
자유무역이란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없애고 자유롭게 상품과 서비스를 거래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무역기구(WTO)**가 있습니다.
34. 관세(Tariff)
관세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 산업을 보호하거나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35. 환율(Exchange Rate)
환율이란 한 나라의 화폐와 다른 나라의 화폐 간 교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 가치가 하락하여 수출 기업에 유리하고,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 가치가 상승하여 수입 비용이 줄어듭니다.
[ 노동시장과 고용 ]
36. 노동(Labor)
노동이란 인간이 생계를 위해 수행하는 경제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노동자는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소득을 얻습니다.
37. 노동시장(Labor Market)
노동시장은 근로자를 찾는 기업과 일자리를 원하는 노동자가 만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38. 실업(Unemployment)
실업이란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실업률은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39. 최저임금(Minimum Wage)
최저임금이란 정부가 법으로 정한 노동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최소한의 임금입니다.
40. 정규직(Permanent Job)
정규직이란 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입니다.
41. 비정규직(Non-Permanent Job)
비정규직이란 계약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임 등 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진 일자리입니다.
42. 연봉(Annual Salary)
연봉이란 노동자가 1년 동안 받는 총 급여를 의미합니다.
43. 퇴직금(Retirement Allowance)
퇴직금이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한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돈입니다.
44. 노동조합(Trade Union)
노동조합이란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임금과 근무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입니다.
45. 근로시간(Working Hours)
근로시간이란 노동자가 하루 또는 일주일 동안 일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경제 공부가 어렵다고 느껴질 때, 하나씩 차근차근 이해해가며 배우면 어느새 경제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2탄 정부와 경제정책, 노동시장과 고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를 위한 경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프레이션 이 어떻게 다를까? (4) | 2025.03.02 |
---|---|
트럼프의 자동차 25%관세 부과에 대해 한국 경제가 미치는 영향 (1) | 2025.02.20 |
경제 초보자를 위한 기초 경제 용어 정리 100 [ 4탄 : 국제경제, 경제 성장및 발전, 기타 경제 용어] (1) | 2025.02.15 |
경제 초보자를 위한 기초 경제 용어 정리 100 [3탄 : 소비와 생활 경제, 디지털 경제, 지속 가능 경제] (2) | 2025.02.15 |
경제 초보자를 위한 기초 경제 용어 정리 100 [1탄 : 경제의 기본개념, 금융 및 투자] (1) | 2025.02.14 |